지난 포스팅에서는 결혼식 전 챙겨야 하는 체크리스트 1탄을 포스팅해봤습니다. 상견례, 웨딩홀, 스튜디오촬영, 드레스 투어, 메이크업샵 그리고 신혼집 구하기까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2024.03.18 - [정보공유 - 웨딩] - 결혼식 전 챙겨야하는 체크리스트 제1탄 (상견례, 웨딩홀, 스튜디오촬영, 드레스투어, 메이크업 샵, 신혼집 구하기 등)
결혼식 전 챙겨야하는 체크리스트 제1탄 (상견례, 웨딩홀, 스튜디오촬영, 드레스투어, 메이크업
결혼 준비를 시작하면서부터 결혼식 당일까지도 챙겨야 할 것들이 너무 많은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분들을 위하여 내용 공유와 체크리스트를 함께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아래
mongdalhi.tistory.com
7. 혼수(가전, 가구)
혼수 준비할때 중요한것은 품질과 가격 그리고 배송기간 입니다. 침대, 화장대, 식탁, 쇼파, TV장, 장농 등이 혼수에 포함 될 수 있습니다. 각자 집에 필요한 항목을 구매하면 됩니다. 이때 한 업체에서 구매를 하는 경우 일괄 배송이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배송일자를 잘 확인하시어 이사 엘레베이터를 예약하거나 사다리차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때 추가 비용이 들 수 있으므로 참고하여 주시기바랍니다
가전에는 냉장고, 세탁기, 김치냉장고, 청소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TV 정도가 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정수기나 전자렌지 등이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가전 또한 한 업체에서 구매시 추가 할인을 할 수 있어 함께 구매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가구와 마찬가지로 엘레베이터 예약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8. 예물과 예단
요즘 예물은 결혼반지나 시계, 가방 등 신랑 신부가 기념으로 주고 받는것을 의미합니다. 예단은 통상 신부가 시댁에 보내는 선물을 의미합니다. 최근에는 현금을 대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물과 예단은 결혼 4-6개월전 양가와 상의하여 어떻게 진행할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예물과 예단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지만 신랑 신부가 직접 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단은 일반적으로 신부가 신랑측에 평균 1000-3000만원(홀수) 정도를 보내면 신랑측에서는 이에 절반정도를 꾸밈비 명복으로 돌려주는것이 일반적인 관행입니다.
보통 결혼식 2-3개월전에 예물 예단을 주고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9. 신혼여행
신혼여행 준비는 신랑 신부가 각자 가보고 싶었던 곳을 나열해가며 여행 기간과 금액을 맞춰 신혼여행지를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먼저 정해야 하는것은 휴양이 좋은지 아니면 관광이 좋은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0. 한복
신랑, 신부가 한복을 입는 경우에는 한복을 대여할지 아니면 맞춤을 할지 여부를 정하면 됩니다. 본식에만 입는다는 기준일 경우 본식 3개월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복 맞춤과 대여 시 꼭 필요한 꿀팁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4.03.12 - [정보공유 - 웨딩] - 결혼 준비- 한복 편 (양가 부모님, 웨딩촬영, 피로연 인사 등)
결혼 준비- 한복 편 (양가 부모님, 웨딩촬영, 피로연 인사 등)
결혼할 때 한복을 꼭 입어야 하나요? 하고 고민하는 분들이 꽤 있답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본인이 원하는 대로 하면 됩니다. 부모님도 마찬가지입니다. 요즘은 어머님들이 한복보다는 양장을 선
mongdalhi.tistory.com
11. 혼주 한복
혼주 한복은 같은 업체에서 맞춰도 되지만 각자 다른 한복집에서 맞출 수도 있습니다. 양가 부모님이 서로 먼 곳에 거주하고 계시는 경우에는 굳이 같은 곳에서 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색감이나 재질을 통일감 있게 공유한다면 본식 당일 너무 다르지 않은 한복을 보실 수 있습니다.
12. 예복
본식 당일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신랑 예복입니다. 일반적으로 본식 3개월 전(스튜디오 생략 시) 또는 스튜디오 촬영 3개월 전부터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맞춤시에는 약 3개월가량의 소요기간이 걸리므로 여유있게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대여와 맞춤이 있고 맞춤 가격은 대략 70만원 선부터 200만원 선까지 원단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가장 저렴한 원단은 보통 제일모직에서 나오는 국내산 원단이나 이 원단 또한 충분히 좋은 원단이므로 부담이 된다면 예복에 비싼 원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보통 예복을 준비할 때 넥타이, 수제구두 등을 함께 주는 경우도 있으니 업체 선택 시 어떤 항목이 포함인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예복 맞춤인 경우에는 스튜디오 촬영용 옷을 함께 빌려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복 포함하여 총 세 벌 정도를 대여해주고 바지 길이나 소맷단 같은 수선도 어느 정도 해주기 때문에 치수에 대한 걱정은 따로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웨딩 관련한 양복점이 아닌 일반 정장 맞춤 업체를 선택한다면 스튜디오 촬영 시 필요한 정장들은 별도로 대여해야 할 수 있으니 계약 전 대여복도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시면 좋습니다.
내용 조절에 실패하여 다음 포스팅에 제3탄까지 이어집니다.
'정보공유 - 웨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로뛴 결혼식 총 견적 금액 알아보기 - 웨딩홀 가격 편 (식대, 보증인원, 꽃장식가격, 음료가격 등) (0) | 2024.03.21 |
---|---|
결혼식 전 챙겨야하는 체크리스트 제3탄 (혼주 메이크업, 본판,스냅, DVD, 사회자섭외, 축가섭외, 주례준비, 아버지 정장 준비, 형제자매 옷준비등) (0) | 2024.03.20 |
결혼식 전 챙겨야하는 체크리스트 제1탄 (상견례, 웨딩홀, 스튜디오촬영, 드레스투어, 메이크업 샵, 신혼집 구하기 등) (0) | 2024.03.18 |
웨딩 시장 전반에 대해 실태조사 및 가격정보로 인한 결혼 준비시 기대할수 있는 효과 (0) | 2024.03.14 |
결혼 준비- 한복 편 (양가 부모님, 웨딩촬영, 피로연 인사 등) (0) | 2024.03.12 |